반응형
지진은 예고 없이 발생하며, 발생 지역과 강도에 따라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. 최근 미얀마 사가잉주에서 규모 7.7의 강진 발생으로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.
특히 우리나라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, 지진 발생 시 대처 요령과 피해 양상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지진 강도별 피해 양상과 지진 발생 원인을 정리하고, 지진 발생 시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1. 지진 강도별 피해 양상
지진의 강도는 규모(Magnitude) 와 진도(Intensity) 로 나뉩니다.
- 규모: 지진의 에너지 크기를 나타냄 (단위: M)
- 진도: 지진 발생 시 사람이 느끼는 정도와 피해 상황 (단위: I ~ XII)
🔎 지진 규모별 피해 양상
규모(M)설명피해 정도
1.0 ~ 2.9 | 미소 지진 | 대부분 감지되지 않음 | 사람이 감지하지 못하고, 계측 장비로만 확인 가능 |
3.0 ~ 3.9 | 경미한 지진 | 실내에서 진동을 느낄 수 있음 | 창문이 약간 흔들리고, 조명이 살짝 흔들릴 수 있음 |
4.0 ~ 4.9 | 경도 지진 | 창문이 흔들리고 그릇이 깨질 수 있음 | - 책장 위의 물건이 떨어질 수 있음 - 벽에 경미한 균열 발생 가능 - 취약한 구조물에 손상 발생 |
5.0 ~ 5.9 | 중간 강도의 지진 | 벽 균열 발생, 가구 이동 가능 | - 건물의 오래된 벽에 금이 갈 수 있음 - 무거운 가구가 넘어질 수 있음 - 타일 및 유리창이 깨질 수 있음 - 사람이 걷기 어려울 정도로 흔들림 발생 |
6.0 ~ 6.9 | 강한 지진 | 건물 붕괴 가능, 땅 갈라짐 발생 | - 내진 설계가 약한 건물 일부 붕괴 - 벽돌, 타일이 무너져 내림 - 도로가 갈라지고 균열 발생 - 교량 및 터널이 손상될 가능성 |
7.0 ~ 7.9 | 대지진 | 대규모 건물 붕괴, 지반 붕괴 발생 | - 철근 구조물이 휘어지거나 붕괴 - 상수도 및 전력 공급 중단 - 도로가 크게 균열되고 산사태 발생 - 인명 피해 및 광범위한 구조 요청 발생 |
8.0 이상 | 초대형 지진 | 심각한 인프라 붕괴, 쓰나미 발생 가능 | - 고층 건물 대규모 붕괴 - 철도, 공항 등 교통 시설 심각한 피해 - 대규모 화재 발생 가능 - 해안 지역에 쓰나미 발생 위험 |
🔎 지진 진도별 피해 양상
진도설명피해 정도구체적인 피해 예시
I (1) | 사람은 감지하지 못하나 계측 장비로는 감지됨 | 피해 없음 | - 사람은 느끼지 못함 - 연구 장비로만 감지 가능 |
II (2) | 일부 사람이 미약하게 느낌 | 피해 없음 | - 고요한 상태에서 일부 사람이 약하게 감지 - 흔들림은 거의 없음 |
III (3) | 실내에서 진동 감지, 차량이 약간 흔들림 | 피해 없음 | - 정지된 차량이 살짝 흔들림 - 전등이 약간 흔들릴 수 있음 |
IV (4) | 창문 흔들림, 그릇 소리 발생 | 경미한 피해 가능 | - 그릇, 유리가 딸깍거리는 소리 발생 - 벽에 미세한 균열 가능 - 정지된 차량이 눈에 띄게 흔들림 |
V (5) | 대부분 사람이 감지, 약한 건물 손상 가능 | 소규모 피해 발생 가능 | - 벽에 금이 갈 수 있음 - 창문 파손 가능 - 가구가 넘어질 수 있음 |
VI (6) | 벽 균열 발생, 가구가 넘어짐 | 중등도 피해 발생 | - 건물 벽에 균열 발생 - 가구 및 기물이 심하게 흔들리며 넘어짐 - 사람이 서 있기 어려운 상태 |
VII (7) | 건물 외벽 손상, 벽돌이 떨어짐 | 심각한 피해 가능 | - 오래된 건물 일부 붕괴 - 기와, 벽돌 등이 낙하 - 인명 피해 발생 가능 |
VIII (8) | 건물 붕괴 위험, 도로 파손 | 대규모 피해 발생 | - 철근 구조물의 휘어짐 발생 - 도로 및 교량 균열 및 붕괴 - 상하수도 손상 발생 |
IX (9) | 대부분 건물 붕괴, 지반 균열 발생 | 심각한 피해 발생 | - 고층 건물 심각한 붕괴 - 산사태 발생 - 인명 피해 심각 |
X (10) | 구조물이 완전히 붕괴, 땅이 갈라짐 | 극심한 피해 발생 | - 대부분의 건물 붕괴 - 도로, 교량, 터널 완전 붕괴 - 대규모 화재 발생 가능 |
2. 지진 발생 원인
지진은 지각 내부에서 발생하는 지각 변동에 의해 발생합니다. 구체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.
▶ 판의 충돌 및 이동
- 지구의 표면은 여러 개의 판(tectonic plates)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- 이 판들이 서로 충돌하거나 갈라질 때 강한 지각 변동이 발생하며 지진이 발생합니다.
▶ 화산 활동
- 화산이 분출하면서 발생하는 마그마의 이동과 압력 변화로 인해 지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▶ 단층 운동
- 지각 내부에 존재하는 단층(fault)이 이동하면서 응력(Stress)이 방출될 때 지진이 발생합니다.
3. 지진 발생 시 대처 요령
- 실내: 탁자 아래로 몸을 숨기고 머리를 보호
- 실외: 건물, 전신주에서 멀리 떨어지기
- 차량: 속도를 줄이고 가장자리에 정차 후 대기
- 해안가: 쓰나미 경고 시 고지대로 즉시 대피
✅ 마무리
지진은 예고 없이 발생하며, 강도에 따라 피해 양상이 매우 달라집니다. 따라서 지진 발생 원인과 강도별 피해 양상을 잘 이해하고, 사전에 대비하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 평소에 대비책을 마련하고 지진 발생 시 침착하게 대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